영남연합포커스 김진우 기자

영덕군에서 열린 ‘수소·원전 기반 에너지산업 유치 포럼’이 지역사회에 큰 여운을 남겼다.
주민·전문가·기타 관계자가 한자리에 모여 영덕의 미래 산업 방향을 논의하면서, 지역민의 의지가 행정의 향후결정에 분명한 뱡향성을 제시하는 힘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특히 원전 부지 논란 이후 10년 가까이 지속돼 온 지역민의 상처가 아직도 완전히 아물지 않았다는 점에서 “군정은 더 이상 민심을 외면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분명하게 드러났다.
포럼 현장에서 도출된 핵심 메시지는 명확하다. 영덕군의 산업적 활로는 에너지 소비 기반 대규모 산업, 즉 수소·데이터센터·반도체 연관 산업을 유치할 수 있는 ‘에너지 공급력’ 확보에 달려 있다는 점이다. 이는 단순한 지역 민원이나 일회성 요구가 아니라, 국가 탄소중립 전략과 산업 생태계 변화 속에서 영덕이 다시 중심권에 설 수 있는 현실적 선택지라는 점에서 무게감을 갖는다.

이 과정에서 김 군수를 비롯한 군정의 역할은 결코 작지 않다. 포럼에 참석한 여러 주민 대표와 전문가들은 “행정이 방향을 제시해야 시장도, 기업도 움직인다”는 점을 강조했다. 즉, 군정이 산업 전략의 나침반을 제시하고, 주민과 기업이 이를 실행하는 ‘동반자 구조’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김 군수 역시 지역민심이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더 이상 외면할 여지는 없다. 주민들은 원전 취소 과정에서 발생한 불신과 행정적 피해를 수차례 지적하며 “중앙정부와의 협의에서도 군이 앞장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군정이 산업 비전을 명확히 설정하고 과거 문제의 매듭을 풀기 위한 외교적·행정적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는 주문이 이어졌다.

이번 포럼은 지역사회가 스스로 미래를 설계하고자 하는 의지를 공식적으로 드러낸 자리였다. 에너지산업은 단순한 산업 유치의 문제가 아니라, 인구 감소·지역경제 침체·청년 이탈을 멈출 수 있는 유일한 성장 모멘텀이라는 공통된 인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주민들은 “새로운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며 군정의 책임 있는 대응을 거듭 압박했다.
영덕이 다시 한 번 국가 산업지도 위에 올라설 수 있을지는 결국 행정과 주민이 얼마나 같은 방향을 바라보며 움직이느냐에 달려 있다. 포럼에서 확인된 민심의 무게를 바탕으로, 김 군수와 군정이 지역의 요구를 세밀하게 정책화하고 실천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지역의 미래는 이미 논의의 테이블 위에 올랐다. 이제 필요한 것은 결정과 실행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