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연합포커스 김진우 기자 | 경주시는 지난 23일 추분을 맞아 숭덕전, 숭혜전, 숭신전 등 3전(三殿)에서 박씨·석씨·김씨 후손과 유림이 참석한 가운데 추향대제를 봉행했다.
오릉 내 숭덕전에서는 신라 시조왕 박혁거세를 기리는 추향대제가 엄숙히 거행됐다.
참석자들은 숭덕문, 조흥문, 홍살문, 숭의문을 거쳐 오릉에 이르러 제향을 올렸으며, 초헌관에는 박영렬(법무법인 대륙아주 변호사), 아헌관에는 박원희(전 참봉), 종헌관에는 박보태(시조왕릉 참봉)가 각각 헌작을 맡았다.
‘경주 숭덕전 제례’는 전통 제례 의식과 복식, 제수 음식 등이 오랜 세월 이어져 내려오며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23년 11월 6일 경상북도 무형유산 제51호로 지정됐다.
숭덕전은 조선 세종 11년(1429년) 창건 이후 여러 차례 중건됐으며, 현재 건물은 영조 11년(1735년)에 복원된 것으로,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제254호로 지정돼 있다.
신라 제13대 미추왕, 제30대 문무왕, 제56대 경순왕을 모시는 숭혜전(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제256호)에서도 추향대제가 거행됐다.
미추왕릉에서는 초헌관에 김병호(전 숭혜전 참봉), 아헌관에 김진희(경주향교 장의), 종헌관에 김중배(숭혜전 참봉)가 헌관직을 맡아 제향을 올렸다.
내물왕릉에서는 초헌관에 김원주(경주김씨 경주수북청년회 회장), 아헌관에 안순재(경주 삼호상사 대표), 종헌관에 김문석(내물왕릉 참봉)이 각각 헌관으로 참여했다.
선덕여왕릉에서는 초헌관에 김월선(경주김씨 경주부녀회 재무), 아헌관에 김미애(경주김씨 경주부녀회 총무), 종헌관에 김옥선(선덕여왕릉 참봉)이 헌관직을 수행했다.
태종무열왕릉에서는 초헌관에 김남성(명성영농조합법인 대표), 아헌관에 김병기(강릉김씨대종회 부회장), 종헌관에 김남민(태종무열왕릉 참봉)이 경건한 분위기 속에서 제향을 봉행했다.
헌관들은 조상의 뜻을 기리며 후손들의 안녕을 기원했다.
숭혜전은 인조 5년(1627년) 동천동으로 이전됐다가 정조 18년(1794년)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으며, 고종 24년(1887년)에는 미추왕의 위패를, 이듬해 문무왕의 위패를 추가 봉안하면서 ‘숭혜전’이라는 편액을 하사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신라 제4대 석탈해왕을 모시는 숭신전(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제255호)에서도 제향이 봉행됐다.
초헌관에는 석수덕(태백회장), 아헌관에는 석진갑(현 이사), 종헌관에는 석응수(영주 참봉)가 헌관직을 맡아 제례를 진행했다.
숭신전은 1898년(광무 2년) 월성 안에 건립됐다가 1980년 석탈해왕릉 인근 현 위치로 이전됐다.
후손들은 조상의 은덕을 기리고 숭조덕업(崇祖德業)의 정신을 계승하는 시간을 가졌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급변하는 현대에도 전통 제례 문화는 그 생명을 이어가야 하며, 신라 시대 이래 이어진 향사는 단순한 의례가 아닌 조상들의 정신과 삶의 철학을 후손에게 전하는 살아 있는 유산”이라며, “앞으로도 시민 모두가 경외와 깊은 애정을 가지고 이 귀중한 전통을 지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